Skip to content
EUM
  • ABOUT
    • 공식 블로그
    • 공식 인스타그램
    • 공식 카카오톡채널
  • TEA
    • 고산차
    • 문산포종, 평지우롱차
    • 배화차, 홍오룡
    • 동방미인
    • 백차, 녹차, 홍차 외
    • 패키지
    • 동면중 ?
  • CLASS
    • 언택트 심화반 4기 집중반 (1월 모집)
    • 과정 안내
    • 강의 알림 신청
  • GUIDE
  • 로그인
  • 회원가입
  • 0
    • No products in the cart.
  • 0
    장바구니
    No products in the cart.
BISA016. 동방미인 묘율 전국 비새 이등장 24夏
동방미인

BISA016. 동방미인 묘율 전국 비새 이등장 24夏

350,000 원

전국 비새 틴케이스(150g) 입니다.

재고 있음

카테고리
  • 2024년 12월 얼리버드
  • 개인결제창
  • 고산차
  • 교보재마켓
  • 동면중
  • 동방미인
  • 문산포종, 평지 우롱차
  • 미분류
  • 배화차, 홍오룡
  • 백차, 녹차, 홍차 외
  • 얼리버드
    • 2024년 11월 얼리버드
    • 2024년 12월 얼리버드
    • 2024년 5월 얼리버드
    • 2024년 6월 얼리버드
    • 2024년 7월 얼리버드
    • 2025년 6월 얼리버드
    • Early2505
  • 패키지
  • 설명
  • 추가 정보
  • 상품평 (0)

🍃 미리 알아두면 좋은 정보글

카테고리: 동방미인
동방미인은 대만 북부 도죽묘 차구에서 주로 생산되는 대만 청차입니다. 대만에서 발명하여 100여년이 넘는 시간 동안 발전을 거듭해 온 차이기에 가장 대만스러운 차라고도 말할 수 있는 차입니다. 동방미인의 정식 명칭은 백호오룡白毫烏龍입니다. 흰색 솜털이 있는 오룡차라고 하여 붙은 이름입니다. 고산차나 철관음, 동정오룡 등의 차는 어느정도 자란 개면엽을 사용하기에 특정 품종이 아니면 솜털이 보이는 경우가 흔치 않습니다. 반면 동방미인은 1아 1~2엽의 아주 어린 싹과 잎을 취해 차를 만들기 때문에 흰 솜털白毫에 덮여 있는 싹이 육안으로 쉬이 관찰됩니다. 이러한 채엽 기준이 동방미인의 큰 특징이기에 백호오룡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입니다. 동방미인은 그 외에도 팽풍차, 번장우롱, 샴페인우롱, 오색차, 에나떼(밀향차)등의 다양한 별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방미인은 채엽 기준 외에도 독특한 특징이 많은 차입니다. 홍오룡의 등장 이전까지는 대만 청차류 중 가장 높은 산화도를 가진 청차였고, 여기서 유래한 화과향은 동방미인의 개성이 되었습니다.
품종: 청심대유
청심대유青心大冇는 청심오룡과 함께 대만차에서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는 중요한 품종입니다. 조기부터 현재까지 긴 시간 재배하였으며, 일치시기에는 [조기 대만 4대 명종]중 일각을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차의 품질이 좋은 것은 물론이고, 개량에도 적절하여 품종 개량에도 폭넓게 쓰여왔습니다. 기본적으로 동방미인이나 홍차같은 산화도 높은 차에 적제성이 있습니다. 청심대유를 이야기할 때에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는 차는 단연코[동방미인]입니다. 동방미인이라는 장르 내에서 청심대유의 입지는 독보적입니다. 청심대유로 만든 동방미인은 동방미인 중 으뜸으로 치며, 비새에서도 이등장 이상의 상위권은 대다수 청심대유로 만들었습니다. 향이 풍부하면서도 과하지 않고, 탕은 가볍거나 무겁지 않아 호불호가 적습니다. 소록엽선이 작용하였을 때 생성되는 밀향은 타 품종에서도 발현이 되지만, 여러 밀향 중에서 청심대유에서의 밀향을 가장 높게 칩니다. 소록엽선의 선호도 또한 높은 편입니다. 동방미인을 생산하는 산지에서는 대부분 청심대유를 기릅니다. 이 품종을 기르는 지역은 대만 내에서도 한정적이며, 이는 모두 동방미인의 핵심 산지입니다. 크게는 타오위엔, 신죽, 묘율로 대표되는 이 산지를 한데 묶어 [도죽묘차구]라고 부르기도합니다. 생산량은 많은 편이지만 병충해에 약하며, 화과향과 밀향을 품종향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동방미인에 특화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대만의 최고급 동방미인은 청심대유로 만들어 진 것이 절대다수입니다.
산지: 묘율
어느 지역이 가장 전통적인 동방미인을 만드느냐 묻는다면 많은 차인들이 묘율苗栗을 꼽을 것입니다. 우리나라에 소개되는 동방미인은 대부분 신죽의 것이라 묘율의 차는 접근성이 조금 떨어지는 편이지만, 긴 시간동안 동방미인을 즐겨 오신 분들은 조금 더 수고롭더라도 묘율차를 고집하여 드시곤 합니다. 동방미인의 역사와 흐름, 시장 구조, 산지, 보관에 대해 이해할수록 묘율차의 매력에 빠지게 되곤 합니다. 묘율과 신죽의 가장 큰 차이는 산화와 배화 정도입니다. 신죽이 배화 정도를 높여 단기간에 강하고 선명한 향을 끌어낸다면, 묘율은 배화 포인트를 낮게 잡아 맛이 천천히 무르익게 합니다. 바로 마시기에는 신죽이, 묵혀 마시기에는 묘율이 낫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용량: 150g
동방미인 비새차 한 틴의 중량은 150g입니다.

Editor's Comments

올 여름, 딱 하나 소개하는 동방미인

작년은 동방미인의 빈티지 시즌이었습니다. 기본적으로 동일 등급 내에서도 평균 품질이 반 등급 정도는 올랐다는 체감을 줄 정도였으니 말이지요. 흔치 않은 시즌이었다 보니 당시에 차를 구하러 다니던 것이 무척 인상적인 기억으로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올 여름. 작년과는 또 다른 의미에서 인상적이었습니다. 지역 편차, 다원 편차, 비새 이슈 등등… 가장 큰 문제는 비였습니다. 비가 너무 많이 왔습니다. 비가 오고 시간이 좀 지나서 채엽한 묘율은 오히려 생산량도 늘고 품도 빈티지 까지는 아니어도 괜찮았는데 비가 오는 시즌 전후로 채엽한 도원, 신죽, 신북은 타격이 컸습니다. 고급차가 없어 서로 무안한 상황이었죠.

묘율은 일부 다원이기는하지만 생산량도 평년에 비해 많고, 고급차도 좀 나왔습니다. 그런데 막상 묘율은 올해 평선 교체와 함께 약간의 이슈가 있어서 올 여름 차는 비새 등급 외에도 고려할 사항이 많았습니다.

결국 묘율과 전국, 신베이 비새를 포함하여 최소 삼등장 이상급으로 평소보다 훨씬 더 다양하게 테이스팅을 한 뒤에야 차를 하나 골랐습니다. 이번 차는 [전국 동방미인 비새]에서 이등장을 받아온 차입니다. 전국 비새이지만 산지는 묘율, 제다 방식 역시 모두 묘율의 전통 스타일입니다. 어느 비새에 나가도 최소 이등장 어지간하면 두등장 받을 차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배치 전량을 수매하였고, 다른 동방미인을 소개하지 않는 만큼 그 중 일부를 이번 얼리버드에서 소분하여 소개하기로 하였습니다. 

이 글은 소분을 하지 않은 한 틴 단위(150g)에 대한 글입니다. 태풍으로 인해 차품이 아직 차농에게 반환되지 않아 사진이 아직 업로드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분홍색 전국 비새 틴케이스입니다.  


 사진 속 탕색은 1:30 비율로 70℃ 물에 3분간 우려 낸 탕색입니다. 물, 우림법, 다구, 조명 등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테이스팅 노트

고급 동방미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섬세한 향과 밀향이 매력적인 차품입니다. 오렌지필과 자몽 등 시트러스한 향이 앞 부분에 깔리고, 다채로운 꽃과 과일향이 중반부를 채우고 나면 시원하고 상큼한 밀향이 그 뒤를 잇습니다. 약간의 화이트 초콜릿 느낌과 매끄러운 꿀물 뉘앙스, 약간의 산미가 과일의 느낌을 살려줍니다. 약간 낮은 온도로 조금 오래 우려야 장점이 잘 사는 차입니다.

브루잉 팁

🍃 5g / 💧 150ml /  🌡️ 70℃~90℃ 전후 / ⌛ 1포당 1분 이상 / 👀 최소 6포 이상

동방미인은 여러 대만차 중에서도 물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특히나 물의 온도, 시간 등에 예민하지요. 고급 동방미인으로 갈수록 물 온도에 대한 저항성은 높아지지만, 역시나 시간에 예민한 차이기는 합니다. 동방미인을 잘 우렸는지 판단할 때는 차탕의 색을 관찰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우린 차탕이 밝은 호박색을 띠면 아주 잘 우린 것입니다. 약간 붉은 빛을 띠며 오렌지 색에 가깝게 나온다면 시간이 너무 길었거나, 온도가 높았던 것이고, 향미가 연하거나 차탕이 밝은 금색 정도로 나온다면 시간이 너무 짧았거나, 온도가 너무 낮은 것입니다. 아래의 우림은 기본적인 가이드입니다. 사용하시는 물에 따라 약간씩 조절하여 주세요!


1포~2포: 70℃ 3분

3포~4포: 80℃ 2분

5포 이후: 90℃ 1분

무게150 g
REVIEW | ( 0 )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

고객센터

평일 오후 1시 - 7시 (UTC +9)
주말, 공휴일 휴무

070-4138-0150​

의운차업유한공사 宜沄茶業有限公司​

대표자: 박주현 I 사업자등록번호: 94133812 I 주소: 대만 타이중시 서구 충명남로237호
5층 2 I 사업자, 제휴 문의: official@eum.tw I 호스팅사: Linode LLC. JP​

통화 변경시 쿠폰, 포인트 이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별도 문의 바랍니다. ​

  • About
  • Blog
  • Contact
  • FAQ
  • ABOUT
    • 공식 블로그
    • 공식 인스타그램
    • 공식 카카오톡채널
  • TEA
    • 고산차
    • 문산포종, 평지우롱차
    • 배화차, 홍오룡
    • 동방미인
    • 백차, 녹차, 홍차 외
    • 패키지
    • 동면중 ?
  • CLASS
    • 언택트 심화반 4기 집중반 (1월 모집)
    • 과정 안내
    • 강의 알림 신청
  • GUIDE
  • 로그인
  • 회원가입

로그인

비밀번호를 잊어버리셨나요?